서울시의 식생활∙영양 정책 및 사업을 소개합니다.
사업명 | 서울시 음식문화개선사업 |
---|---|
부서 | 식품정책과 |
문의 | 식품정책과 외식업위생팀 |
식품접객업소 위생등급 지정 확대 및 식문화 개선을 통한 안전하고 위생적인 외식환경을 조성하고자 함 |
Ⅰ. 추진 근거 |
□ 식품위생법 제47조(모범업소의 지정 등) 및 제47조의2(식품접객업소의 위생등급 지정 등)
□ 2025년 음식문화개선사업 계획(식약처 식중독예방과-13468, 2024. 12. 30.)
□ 2025년 식품접객업소 위생관리 추진계획(식품정책과-1955, 2025. 1. 22.)
Ⅱ. 주요 현황 |
□ 식품접객업소 현황 (2024. 12. 31.기준, 단위: 개소)
총 계 |
일반음식점 |
휴게음식점 |
제과점 |
단란주점 |
유흥주점 |
169,043 |
123,866 |
37,448 |
4,015 |
1,955 |
1,759 |
□ 음식점 위생등급제 지정 현황 (2024. 12. 31.기준, 단위: 개소)
총 계 |
매우우수 |
우수 |
좋음 |
6,262 |
5,541 |
505 |
216 |
※업종별: (일반음식점)3,071개소 (휴게음식점)2,840개소 (제과점)351개소
□ 모범음식점 지정 현황 (2024. 12. 31.기준, 단위: 개소)
총 계 |
한식 |
중식 |
일식 |
양식 |
분식 |
뷔페 |
기타 |
2,94 5 |
2,197 |
211 |
255 |
117 |
34 |
18 |
113 |
Ⅳ. 2025년 추진계획 |
<< 추진방향 >> -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 활성화 - 안전한 외식환경 조성을 위한 관리 및 지원 강화 - 음식문화개선 실천 확대 |
1.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 활성화 |
|
□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 확대 (단위: 개소)
※위생등급 지정대상 업소 : 식품접객업소(일반음식점, 휴게음식점, 제과점) |
ㅇ 위생등급 식품안심구역(특화구역) 확대
- 시민이 자주 방문하는 관광지, 복합쇼핑몰, 맛집거리 대상으로 자치구별 식품안심구역(특화구역) 위생등급 지정 추진
ㅇ모범음식점 및 자치구별 자체 인증제도와 위생등급제 연계
- 위생등급을 지정받은 업소를 대상으로 자치구별 자체 인증제도 실시
□ 위생등급 효율적 사후관리 및 지원 강화
ㅇ 위생등급 지정 유지업소 상‧하반기 사후관리 강화
- 위생등급 지정 업소에 대하여 등급별 지정기준 준수여부 확인 등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상‧하반기 점검 실시
- 식품위생법 위반, 부정불량식품 등 민원신고, 식중독 의심신고 업소 집중 점검
※ 유효기간종료, 자진반납, 폐업 등의 경우 위생등급 지정서 및 표지판 회수 조치
※ 식품위생법 제75조에 따라 영업정지 이상의 처분을 받은 업소는 식약처 통보
ㅇ 위생등급 지정 정보 표출 확대
- 위생등급 지정업소 방문 유도를 위해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맛집 및 예약앱에 위생등급 표출 확대
ㅇ 식품진흥기금을 통한 시설개선 자금 융자 등 지원 확대
2. 안전한 외식환경 조성을 위한 관리 및 지원 강화 |
□ 모범음식점 사후관리 및 지원
ㅇ 식품위생법 준수여부 확인 강화 및 정기 재심사(매년 10월) 운영 철저
- 모범업소 세부지정기준 및 좋은식단 이행기준에 의한 평가 철저
- 재심사 결과 부적합 판정, 영업정지 이상의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 지정 취소하고 모범음식점 지정증 및 표지판 회수 조치
ㅇ 모범음식점 중 위생등급 지정 희망 업소에 기술지원 우선 실시
□ 위생적 외식환경 조성을 위한 컨설팅 등 지원
ㅇ 위생 취약업소 등의 주방 컨설팅 및 위생교육 지원
- 상대적으로 위생 취약이 우려되는 소규모․영세업소의 위생 강화를 위한 주방 컨설팅 및 식재료 보관 교육 실시
※(예시) 냉장고 청소, 성애 제거, 식자재 종류별 분류, 개봉일 표시 등
※자치구 자체 컨설팅, 위생등급 기술지원, 식중독 예방진단 컨설팅 등 병행 추진
ㅇ 식품안전을 위한 시설 및 위생용품 지원
3 |
|
음식문화개선 실천 확대 |
□ 음식물쓰레기 및 1회용품 사용 줄이기로 친환경 음식문화 조성
ㅇ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적정량 제공, 반찬 가짓수 줄이기, 소형찬기 사용 등 간소한 상차림 권장 등 좋은식단 실천 지속 추진
ㅇ 식품진흥기금을 통한 덜어먹기 등 위생적인 음식문화 실천 확산
ㅇ 위생적인 음식문화 및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를 위한 영업자 지원 및 대시민 홍보물 제작․배포
ㅇ 자치구별 특색 사업
구분 |
사업명 |
추진내용 |
은평구 |
남은 음식 재사용 금지(ONCE FOOD) 운동 |
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자율실천 유도 운동 *원스푸드(ONCE FOOD): 딱 한번 사용한 음식, 한번 먹을 수 있는 양만큼 제공한 음식이 맛도 좋고 깨끗하며 누구나 즐기길 원한다는 의미 |
도봉구 |
‘Triple S 식품안심급식소’ 지정․운영 |
식품안전과 음식물쓰레기 저감 및 저염식단 실천 도모 *Triple S:위생적인 시설과 환경을 갖추고(Safety),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며(Saving), 건강을 위한 저염식단(Salt-low)을 제공하는 우수 급식소 |
탄소배출 줄이는 ‘채식의 날’ 및 ‘샐러드바’ 운영 |
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육류 소비를 줄이고, 자반없는 날을 통해 저탄소 환경보호 식문화 확산에 기여 |
|
영등포구 |
남은 음식 ZERO, 스마일디쉬 캠페인 |
남은 음식 재사용 금지, 먹을 만큼 덜어먹기 등을 통해 음식점 이미지 개선 *스마일디쉬(Smile dish): 스스로 드신 음식 마지막 한 그릇에 일(하나)로 모아주세요 |
□ 음식문화개선 정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
ㅇ 음식점 위생점검 시 식문화 개선사항 확인 및 지도 병행
ㅇ 시민의 음식문화개선 의식전환을 위해 관련 협회, 소비자 단체, 기관 등과 합동․연계한 홍보 추진
ㅇ 경연대회, 페스티벌 등 행사 시 음식문화개선 홍보 강화
- 식품안전의 날, 지역축제 등 개최 시 덜어먹기, 위생등급제 등 홍보